총 407건 중 407건 출력
, 8/41 페이지
-
71
-
한영숙류 살풀이춤 기록 실태에 관한 비교분석 - 무보관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
-
안병주;
홍승희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21,
2011,
pp.83-104)
-
72
-
時用舞譜의 宗廟佾舞 再現方法 硏究(1) ? 世祖朝樂譜의 杖鼓長短構造를 中心으로
-
차수정;
숙명여대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6,
pp.295-322)
-
73
-
장자사상의 ‘유遊’로 본 진도북춤의 심미구조 분석- 무보舞步를 中心으로 -
-
이용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28,
2017,
pp.117-135)
-
74.
- 조선후기 향발무 연행의 변천 양상 연구
- 최나리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8장, 2023
-
75
-
트랜스미디어 방법론을 이용한 무용 기록 방안에 대한 연구 - 살풀이 춤 무보집의 사례를 토대로
-
윤헤정;
박진현;
단국대학교;
계원조형예술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17,
2009,
pp.145-168)
-
76
-
다시 돌아보게 된 탈춤의 전승과 그 의미_ 글 방영선⋅무보 성지혜, 춤추는 농사꾼 이윤석(문보재, 2021)
-
박인수;
한국예술종합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61,
2021,
pp.159-165)
-
77
-
宗廟祭禮樂과 宗廟祭禮佾舞를 調和롭게 一致시키는 方法 硏究 - 現行 宗廟祭禮樂과 『時用舞譜』의 「保太平之舞」를 중심으로
-
김룡;
;
(韓國音樂硏究,
v.30,
2001,
pp.123-137)
-
78.
- 춘앵전 춤사위 연구
- 이은솔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46 p., 2019
-
79.
- 현행(現行) 종묘일무(宗廟佾舞)에 대한 고찰(考察)
- 김희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137p., 1992
-
80
-
무기계약직 노동자의 직무특성 및 기관별 임금격차 분석: 중앙행정기관 사무보조직 노동자를 중심으로
-
이승협;
대구대학교;
(산업노동연구,
v.22,
2016,
pp.181-2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