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78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역사의 정치화, 정치의 역사화 독일 <현대사 연구소> 설립을 둘러싼 논쟁
-
송충기;
공주대학교;
(대구사학,
v.86,
2007,
pp.213-236)
-
72
-
독일판 지성사?: 나인호, 『개념사란 무엇인가: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』 - (역사비평사, 2011), 400 pp.
-
최성철;
;
(독일연구 = Korean journal of German studies,
v.21,
2011,
pp.211-224)
-
73
-
종교개혁의 스캔들, 그 불관용의 역사에 대한 역사-재구성적 성찰 : 독일 농민봉기 탄압을 중심으로
-
이승갑;
한일장신대학교;
(신학과 사회,
v.36,
2022,
pp.89-133)
-
74
-
Imperialistic Historiography and the Limitation of Germany as a Role model of Transnational narratives in the History Education
-
Kim, Ga Yeon;
;
(역사와 교육 = The history education review,
v.34,
2022,
pp.459-495)
-
75
-
기념관, 역사, 미학 그리고 학습 - 미국과 독일의 사례연구 -
-
이병준;
김미화;
부산대학교;
운송초등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08,
pp.143-165)
-
76
-
20세기 자본주의의 역사-미국과 독일 자본주의를 중심으로
-
조영철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52,
2001,
pp.39-65)
-
77
-
독일 노동문학의 역사와 현재적 의미
-
조규희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4,
2003,
pp.233-252)
-
78
-
The Long shadow of German Historicism : An Analysis of the German Historical Literature Possessed by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
-
Mun, Soo-Hyun;
;
(아시아리뷰 = Asia review,
v.7,
2018,
pp.151-179)
-
79
-
유럽통합을 위한 역사교육 -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-
-
한운석;
독일 튀빙겐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5,
pp.201-237)
-
80
-
19세기 독일 역사주의 건축의 사례를 통해 본 심미적 역사주의
-
전진성;
부산교육대학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1,
pp.165-1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