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0건 중 100건 출력
, 8/10 페이지
-
71
-
1915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설립에 대한 연구
-
김인덕;
경원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08,
pp.259-289)
-
72
-
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과 구로공단-해방 이후 재일동포의 국내 경제활동과 관련하여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4,
pp.137-164)
-
73
-
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에 대한 연구: 재일본조선인연맹 제4.5회 전체대회와 한신(阪神)교육투쟁을 중심으로
-
김인덕;
한신대학교;
(사림,
v.0,
2006,
pp.173-199)
-
74
-
일제시대 여수지역 강제연행에 대한 고찰
-
김인덕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역사와경계,
v.0,
2008,
pp.9-29)
-
75
-
재일조선인 민족교육과 東京朝鮮中學校의 설립 -『도꾜조선중고급학교10년사』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2,
pp.253-284)
-
76
-
공간 이동과 재일코리안의 정주와 건강 -『大阪と半島人』와 『民衆時報』를 통한 오사카(쓰루하시(鶴橋))의 1930년대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19,
pp.5-36)
-
77
-
박애주의자 박열의 생사관 소고 - 옥중기록을 중심으로 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7,
pp.109-131)
-
78
-
在日朝鮮人總聯合會의 歷史敎材 敍述體系에 대한 小考-『조선력사』(고급 3)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경원대학교;
(韓日民族問題硏究,
v.0,
2008,
pp.331-363)
-
79
-
1920·30년대 재일 조선인 선거운동 -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과 일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江原史學,
v.0,
2011,
pp.375-397)
-
80
-
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 사건이 재일한인 사회에 주는 현재적 의미-민단과 총련의 주요 역사교재와 민단신문의 기사를 중심으로-
-
김인덕;
청암대학교;
(韓日民族問題硏究,
v.0,
2017,
pp.273-3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