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4건 중 214건 출력
, 8/22 페이지
-
71
-
‘생활의 형태’ 그리고 ‘생활의 정서’ 공동체 -김광균론
-
장동석;
;
(구보학보,
v.0,
2018,
pp.287-319)
-
72
-
김영랑과 김광균 시의 아이러니-'눈물'의 심상을 중심으로
-
김경란;
동국대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271-298)
-
73
-
김광균의 서구모더니즘의 변환과 그의 이미지즘에 대한 재고
-
홍경주;
숙명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4,
pp.343-359)
-
74
-
김광균 시에 나타난 자아정체성 연구
-
김윤정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00,
pp.32-52)
-
75
-
해방기 김광균의 시와 시론
-
최명표;
전북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4,
pp.297-317)
-
76
-
김광균 시의 조형성 형성 과정 재고
-
박성준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78,
2021,
pp.247-280)
-
77
-
A Study on “Repetition” and “Generation” of Senses in Kwang-gyun’s Poems - Focusing on 『wasadeung』 and 『gihangji』
-
Park, han-ra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20,
2020,
pp.169-190)
-
78
-
중간파 시 논쟁과 김광균의 시론
-
박민규;
한경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12,
pp.145-172)
-
79
-
김광균 시에 나타난 불의 이미지 연구
-
문복희;
가천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15,
2016,
pp.9-31)
-
80
-
김광균 시의 소리 표상에 관한 연구
-
박성필;
서울시립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9,
pp.235-2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