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90건 중 690건 출력
, 8/69 페이지
-
71
-
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문학교육적 활용
-
김미선;
전남대학교;
(동아인문학,
v.0,
2020,
pp.95-124)
-
72
-
기행문에서 기행문학으로- 사르트르의 『알브마를 여왕 혹은 마지막 여행객』
-
강충권;
아주대학교;
(불어문화권연구,
v.0,
2014,
pp.101-134)
-
73
-
김시습의 호남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
-
김재웅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,
v.0,
2012,
pp.405-436)
-
74
-
기행문을 통한 중국 고전 문학 교학 방안
-
이은진;
연세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20,
pp.1-19)
-
75
-
김시습의 경주기행과 문학창작의 현장
-
김재웅;
경북대학교;
(시학과 언어학,
v.0,
2011,
pp.99-126)
-
76
-
⟨續思美人曲⟩의 紀行文學性 考察
-
류연석;
순천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05,
pp.77-110)
-
77
-
先祖들의 旅行記錄과 紀行文學을 통해 본 韓國의 國外 旅行史
-
박의서;
안양대학교;
(관광연구저널,
v.29,
2015,
pp.75-91)
-
78
-
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
-
임경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08,
pp.361-392)
-
79
-
한일 기행문학의 감성 사유와 글쓰기
-
강경하;
전남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22,
pp.153-170)
-
80
-
하르츠 문학기행 - 하이네의 ⟨하르츠 여행⟩을 중심으로
-
정명순;
전남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9,
pp.137-16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