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-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-
-
윤대석;
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;
(국어교육연구,
v.34,
2014,
pp.201-229)
-
72.
- 문학 교과서의 젠더 감수성 연구
- 김유석
-
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0 p., 2019
-
73
-
小說敎育의 한 可能性 -生態小說을 중심으로-
-
김미영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33,
2005,
pp.469-492)
-
74.
- 현대소설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
- 김지수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6 장, 2017
-
75
-
근대 여성작가의 지식/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
-
김양선;
;
(여성문학연구,
v.24,
2010,
pp.7-30)
-
76
-
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‘나비’의 표상체계 연구
-
한점돌;
호서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4,
pp.691-714)
-
77.
- 양귀자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 : 『원미동 사람들』, 『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』과 『모순』을 중심으로
- 한보람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69 p., 2010
-
78
-
연민의 감정에 기반을 둔 소설 읽기와 서사 윤리, 사회의 공공선 실천
-
선주원;
광주교육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2,
pp.39-67)
-
79.
- 1980~90년대 여성 작가 소설의 여성성 연구
- 신미경
-
광주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82, 2007
-
80
-
「명랑한 밤길」에 관하여 ‒초점의 이동과 파리아의 역설을 중심으로‒
-
문영진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72,
2019,
pp.257-2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