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82건 중 782건 출력
, 78/79 페이지
-
771
-
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
-
서철원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2,
pp.40-65)
-
772
-
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- 감동(感動)과 경계(警戒)로서의 문학
-
김병국;
건양대학교;
(어문연구,
v.122,
2024,
pp.93-128)
-
773
-
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
-
김선기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4,
2011,
pp.231-251)
-
774.
- 16세기 호남시인 연구 : 소쇄원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 선지영
-
전남대학교, 국내박사,
178, 2022
-
775
-
송강 문학의 창작 기법과 현대적 계승 방안
-
이지엽;
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우리말글,
v.60,
2014,
pp.123-155)
-
776.
- 전환학습 기반 친환경습관캠프의 효과와 영향요인 규명
- 강우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, 99 p., 2015
-
777.
- 송강시가에 나타난 선계 이미지
- 진소우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7 p., 2021
-
778.
- 關東別曲과 金剛別曲의 比較 硏究
- 차정학
-
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90 p., 2002
-
779.
- 金洙暎 詩 硏究 : <풀>을 中心으로
- 이세재
-
全州又石大學校, 국내석사,
iii, 69 p., 1992
-
780.
- 조선조 '五倫' 담론의 계보학적 탐색과 오륜시가의 역사적 전개 양상
- 하윤섭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, 327 p., 20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