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327건 중 1,000건 출력
, 76/100 페이지
-
751
-
일반식품에서 분리된 Listeria spp.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
-
이명숙;
김미은;
이원재;
김진상;
이훈구;
강지희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대학교 구강생물공학 연구소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(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=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,
v.11,
1996,
pp.107-114)
-
752
-
대장균에서 Hantaan Virus 76-118 S 분절의 발현 및 항원성 측정
-
이연태;
윤보경;
윤정중;
윤경원;
이경희;
단국대학교 첨단과학부 미생물학과;
단국대학교 첨단과학부 미생물학과;
단국대학교 첨단과학부 미생물학과;
단국대학교 첨단과학부 미생물학과;
단국대학교 첨단과학부 미생물학과;
(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: JBV,
v.31,
2001,
pp.187-192)
-
753
-
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가 만드는 항균 물질의 특성
-
Kim, Ma-Rie;
Lee, Su-Jin;
Seul, Keyung-Jo;
Park, Yu-Mi;
Ghim, Sa-Youl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;
(한국미생물·생명공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,
v.37,
2009,
pp.24-32)
-
754
-
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한 Orientia tsutsugamushi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저항하는 항원의 동정
-
김미경;
김미정;
이선명;
강재승;
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의과학연구소;
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의과학연구소;
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의과학연구소;
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, 의과학연구소;
(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: JBV,
v.38,
2008,
pp.11-17)
-
755
-
한국인의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체(HI) 보유율
-
Lee, Yun-Tai;
Lee, Chong-Hoon;
가톨릭대학 의학부 미생물학교실;
가톨릭대학 의학부 미생물학교실;
(대한미생물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,
v.12,
1977,
pp.51-56)
-
756
-
실험적으로 기니픽에 유발시킨 렙토스피라병에 대한 미생물학적 및 병리학적 연구
-
장우현;
김익상;
이우곤;
박경희;
이재호;
지제근;
이정빈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및 암연구소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및 암연구소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및 암연구소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및 암연구소;
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;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;
(대한미생물학회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,
v.21,
1986,
pp.211-226)
-
757
-
부영양화 해역에서 분리된 Vibrio sp. S-1-2균의 특성과 Cd축적에 관한 연구
-
이원재;
윤덕현;
김무찬;
박영태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미생물학과;
(韓國魚病學會誌= Journal of fish pathology,
v.4,
1991,
pp.31-39)
-
758
-
인간 전립선 암세포 PC-3 세포에서 Silibinin의 세포주기조절을 통한 세포사멸 유도 효과
-
김상헌;
김광연;
유선녕;
진영랑;
전현주;
이창민;
안순철;
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교실;
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교실;
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교실;
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교실;
부산대학교 의학연구소;
예일대학교 호흡기내과;
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교실;
(생명과학회지 = Journal of life science,
v.21,
2011,
pp.1573-1578)
-
759
-
토양에 매몰 방제된 화상병 감염 사과와 배 나무로부터 화상병균 생존 조사
-
김예은;
김준영;
노형진;
이동형;
김수산;
김성환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;
(한국환경농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,
v.38,
2019,
pp.269-272)
-
760
-
도열병균에서 추출한 Cx효소의 순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
-
Kim, Sang-Ho;
Kim, W.S.;
연세대학교 생물학과 미생물학교실;
연세대학교 생물학과 미생물학교실;
(한국균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,
v.10,
1982,
pp.67-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