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75건 중 1,000건 출력
, 76/100 페이지
-
751
-
개화기(1894-1910) 유학자들의 활동과 시대인식
-
이숙인;
서울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37,
2004,
pp.7-42)
-
752
-
栗谷 李珥에서 理無爲의 主宰
-
이종우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6,
pp.67-91)
-
753
-
장자의 제한적 상대주의: 맹자의 불인지심과 포정해우
-
정용환;
전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9,
pp.423-460)
-
754
-
한국 전통 사상의 주체성 탐색과 미래 전망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40,
2004,
pp.7-34)
-
755
-
傅山 書藝의 老莊哲學的 理解
-
조인숙;
성균관대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0,
pp.443-472)
-
756
-
유가 경전에서 찾는 ‘유교적’ 여성주의 리더십
-
김세서리아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2,
pp.69-92)
-
757
-
朝鮮中期 傳統婚禮의 理論的 展開
-
서정화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4,
pp.203-236)
-
758
-
그늘과 그림자의 사유방식 — 三玄(易, 老, 莊)을 중심으로 —
-
탁양현;
전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1,
pp.131-158)
-
759
-
墨辯의 辯學과 道家의 認識論 批判
-
윤무학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5,
pp.257-283)
-
760
-
왜 벽지불로 인해 공덕을 얻으려하는가— 벽지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해 —
-
원혜영;
민족문화연구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13,
pp.323-3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