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05건 중 805건 출력
, 73/81 페이지
-
721.
- 정대석 거문고 독주곡의 음악적 특징
- 한나리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vi, 280 p., 2017
-
722
-
조선시대 선잠·친잠의례와 음악의 역사적 변천
-
송지원;
서울대학교;
(공연문화연구,
v.39,
2019,
pp.509-547)
-
723
-
『시용향악보』의 평조대엽과 소엽 연구
-
전지영;
문화재청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07,
pp.145-169)
-
724.
- 생태주의적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
- 강선우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7 p., 2011
-
725.
- 정일련의 “대금, 피리, 해금, 25현 가야금과 타악을 위한 〈Melted Song(녹인 노래)〉” 분석 연구 : 주요음 기법(Haupttontechnik)과 리듬 사이클 기법(Rhythm-cycle)을 중심으로
- 최현빈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38 p., 2023
-
726.
- 초등학교 가야금 기초교육을 위한 연습곡 개발 연구 : 경기지방 민요를 중심으로
- 김태연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98, 2025
-
727.
-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의 힐링 문화 연구 : 일본 작품 <나츠메 우인장>을 중심으로
- 궈후이팅
-
호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58 p., 2021
-
728.
- 거문고 8현금 독주곡<금성>분석연구
- 임정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9 p., 2011
-
729
-
임둔․진번군의 치폐와 위치에 관한 재논의
-
장병진;
연세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7,
2022,
pp.113-158)
-
730
-
심상건 가야금 산조 연구
-
문재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국악교육,
v.38,
2014,
pp.85-1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