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90건 중 1,000건 출력
, 73/100 페이지
-
721
-
한국 전래동요의 개념과 범주 - 부녀요와 동요의 관계에 주목하여 -
-
김인숙;
동국대학교;
(동양음악(구 민족음악학),
v.31,
2009,
pp.14-35)
-
722
-
2000년대 이후, 온라인동요 플랫폼의 확장과 그 의미
-
김경희;
가천대학교 문화유산역사연구소;
(방정환연구,
v.6,
2024,
pp.55-79)
-
723
-
남자간호원의 교육 -동등한 위치에서의 동요자를 위하여-
-
안경휘;
서울 위생병원;
(대한간호 = The Korean nurse,
v.2,
1963,
pp.12-15)
-
724.
- 상하동요하는 2차원 원주의 고유진동수 : 주파수 영역 해석
- 이동엽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v, 78 p., 2013
-
725.
- 동요를 통한 교수전략이 유아의 읽기·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
- 김미녀
-
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88p., 2001
-
726.
- 幼稚園에서 가르치는 童謠의 音樂的 適合性 分析
- 황성숙
-
啓明大學校, 국내석사,
iii, 59장, 2000
-
727
-
정상 성인 휴지종골 입각각도와 자세동요와의 관련성 연구
-
이완희;
이승원;
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;
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;
(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ist,
v.11,
2004,
pp.5-17)
-
728.
- 축제프로그램으로서 동요이벤트의 개최효과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: 금산, 무주, 함평 지역축제 사례를 중심으로
- 김애란
-
배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9 p., 2008
-
729
-
조종현 동요의 특징 연구
-
이동순;
조선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6,
pp.237-254)
-
730
-
1933년 이전 윤석중 문학과 한국 구비 동요의 관계
-
홍승진;
서울대학교;
(방정환연구,
v.5,
2023,
pp.57-9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