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고려 건국 1,100주년 기념사업의 기획과정과 향후 전망 -기획과 학술 활동을 중심으로-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9,
pp.11-32)
-
62
-
총론:관계와 소통, 통합과 자율의 다양성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6,
pp.9-23)
-
63
-
이방실 장군의 생애와 군사활동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군사,
v.0,
2017,
pp.279-322)
-
64
-
탐라 제주의 고려 유적 출토 명문 기와의 성격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탐라문화,
v.0,
2023,
pp.161-202)
-
65
-
부산지역 고려 유적 출토 명문 기와의 성격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항도부산,
v.47,
2024,
pp.47-92)
-
66
-
고려 말 안우 장군의 군사활동과 ‘삼원수’ 살해 사건의 당대 인식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역사와 실학,
v.0,
2019,
pp.179-216)
-
67
-
定都 1,100년 개경과 1천년 경기의 역사:첫 중세 수도 개경의 시‧공간의 변화를 담아내다 -정은정 저, 『고려 개경‧경기 연구』(혜안, 2018)-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9,
pp.211-227)
-
68
-
한국 중세고고학의 시작과 연구 동향, 그리고 과제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7,
pp.413-436)
-
69
-
고려시대의 도서(섬)의 인식과 개발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8,
2017,
pp.33-72)
-
70
-
한국 섬과 연안의 문헌자료 데이터(DB)의 구축과 활용 전망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50,
2018,
pp.75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