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고전주의적 재현언어의 분산에서 예술의 “현실준수/이탈” 코딩언어의 형성 - 루만과 푸코의 시각으로 본 에.테.아. 호프만의 소설 『모래남자』
-
인성기;
부산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6,
pp.289-309)
-
62
-
E.T.A. 호프만 문학과 자연과학
-
최민숙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5,
2009,
pp.285-318)
-
63
-
문학인가, 문학의 이론인가? - 『브람빌라 공주』에 나타난 포에지의 자기성찰에 관하여
-
홍자선;
연세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24,
pp.5-27)
-
64.
- R. 슈만의 음악과 문학성 연구 : 「크라이슬레리아나(Kreisleriana) op. 16」을 중심으로
- 김선옥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2 p., 2005
-
65
-
E.T.A. 호프만의 『황금단지Der goldne Topf』 연구
-
최민숙;
이화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06,
pp.93-125)
-
66
-
Die 'aufgeklärte' Gespenstergeschichte ― Grenzen einer Typologisierung
-
Bernhard VIERTHALER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0,
2009,
pp.229-252)
-
67.
- E. T. A. Hoffmann의 「모래인간 der Sandmann」에 나타난 서술자의 자아 인식 과정
- 천현순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66p., 1993
-
68.
- E. T. A 호프만의 낭만주의 문학세계와 그로부터 영향 받은 슈만의 음악세계
- 이난수
-
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69p., 2004
-
69.
- E.T.A. Hoffmanns M��chen [Meister Floh] : 최민숙
- 최민숙
-
Univ. Gesamthochschule Paderborn, 국외박사,
, 1985
-
70
-
독일 낭만주의와 라틴아메리카 마술적 사실주의의 환상성 연구 - 유령 모티브를 중심으로
-
김성현;
연세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5,
pp.23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