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7/15 페이지
-
61
-
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Korean-American Association During the Era of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
-
허은;
;
(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1,
2007,
pp.227-260)
-
62
-
중학생 게임 과몰입의 원인과 이용동기의 매개효과 연구
-
김형지;
오로지;
허은;
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;
이화여자대학교 통계학과;
청강문화산업대학교;
(한국게임학회 논문지,
v.19,
2019,
pp.5-22)
-
63
-
The Adaptation Mechanism of Working-class Women in Changwon to Gender Ineqaulity at Work
-
허은,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20,
2018,
pp.158-197)
-
64
-
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for Adolescents
-
Kim Dong-il,;
정여주,;
허은,;
방나미,;
;
(청소년상담연구 =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,
v.18,
2010,
pp.143-172)
-
65
-
미국의 헤게모니와 분단국가 자율성의 결절점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06,
pp.277-312)
-
66
-
1950년대 미국의 대한 교육교환 계획과 한국사회 엘리트의 친미화
-
허은;
수원대학교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44,
2005,
pp.229-266)
-
67
-
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: 주한미공보원 영화
-
허은;
고려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1,
pp.139-169)
-
68
-
유신시대학생, 모의 수류탄을 던지다: 총력안보체제 구축과 군사동원된 신체
-
허은;
고려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2,
pp.12-41)
-
69
-
미국의 문화냉전과 ‘자유 동아시아’의 구축, 연쇄 그리고 균열 - 미국정부의 도서계획과 한국사회 지식인의 인식 -
-
허은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559-611)
-
70
-
4·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-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-
-
허은;
고려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10,
pp.37-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