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0건 중 270건 출력
, 7/27 페이지
-
61
-
러시아의 대외정책과 노령지역의 한인(1905-1914)
-
최덕규;
;
(슬라브 학보,
v.18,
2003,
pp.559-579)
-
62.
- 대중매체를 통한 한국 근대사 교육의 실제와 효과 : 영화 ‘암살’을 활용한 수업 결과를 중심으로
- 이윤정
-
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55p., 2017
-
63
-
한국의 기독교 선교가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
-
송병호;
백석대학교 경찰학부;
(유관순연구,
v.29,
2024,
pp.69-97)
-
64
-
3·1운동의 근대성 연구
-
정영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사회과교육,
v.60,
2021,
pp.29-44)
-
65.
- 일제하 해외 독립운동에서 기독교의 역할 : 중국 북간도와 러시아를 중심으로
- 원필선
-
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84p., 2004
-
66
-
경관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근대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― 군산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―
-
김종일;
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;
(건지인문학,
v.0,
2023,
pp.41-70)
-
67.
- 한국 근현대사 관련 박물관의 장소성과 문화적 기억 재현
- 박영원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9 p., 2019
-
68
-
충북지역 근현대 역사기념시설 분포와 성격
-
김양식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4,
2011,
pp.263-305)
-
69
-
다양한 민족운동사 연구를 위하여 - 민족운동사 연구 경향과 전망 -
-
김태윤;
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24,
pp.90-116)
-
70
-
〈만주체험〉과 〈만주서사〉의 상관성 연구 - 안수길의 『북간도』를 중심으로
-
이선미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5,
2005,
pp.349-3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