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・祭禮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2,
pp.35-75)
-
62
-
웅진시기 백제의 국가제사 -' 제천지(祭天地)'를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08,
pp.1-20)
-
63
-
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1,
pp.145-176)
-
64
-
근대 일본 역사기록물 분류론의 실제
-
채미하;
한국국가기록원;
(기록학연구,
v.0,
2004,
pp.74-109)
-
65
-
중·고등학교 『역사』·『한국사』의 신라사 쟁점에 대한 서술 검토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107-134)
-
66
-
한국 고대의 宮中儀禮 - 卽位禮와 朝賀禮를 중심으로 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13,
pp.1-40)
-
67
-
사로국의 성장과 유이민
-
채미하;
경희사이버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20,
pp.19-42)
-
68
-
666년 고구려의 唐 封禪儀禮 참여와 그 의미
-
채미하;
고려대학교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7,
pp.48-91)
-
69
-
신라의 유가 교육과 『논어』
-
채미하;
경희사이버대학교;
(木簡과 文字,
v.0,
2021,
pp.125-144)
-
70
-
계림주 설치 전후 당의 정책에 대한 신라의 대응
-
채미하;
한국교통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22,
pp.27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