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몇몇 ‘나무’ 이름의 어휘사 -‘개암나무, 곰솔, 구기자나무, 물푸레나무’를 중심으로-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20,
pp.47-79)
-
62
-
제주 방언의 어휘사 - 신체 부위 기능 장애자를 지시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-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영주어문,
v.54,
2023,
pp.123-163)
-
63
-
몇몇 ‘나무’ 이름의 어휘사(2) - ‘노간주나무, 노린재나무, 담쟁이, 엄나무’를 중심으로 -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국어사연구,
v.0,
2020,
pp.199-231)
-
64
-
‘불한당’의 어원 및 의미 변화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국어사연구,
v.0,
2025,
pp.163-203)
-
65
-
‘어휘력’이 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
-
조항범;
장충덕;
김경렬;
충북대학교;
충북대학교;
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;
(개신어문연구,
v.0,
2008,
pp.31-57)
-
66.
- 한국어 상소리 표현 연구
- 배만호
-
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장, 2024
-
67.
- 현대 중국어의 한국어 借用 樣相에 대하여
- Niu, Chaohui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i, 69 p., 2018
-
68.
- 한국어와 벵갈어의 보조동사 비교 연구
- 장성희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i, 98 p., 2014
-
69.
-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특징에 대한 고찰
- 이성실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v, 77 p., 2023
-
70.
- 한국어 부사 유의어의 통시적 연구 : 시간부사, 정도부사, 성상부사, 양태부사를 대상으로
- WANG FEIFEI
-
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,221 p.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