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8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근대 조선의 ‘세계사’ 경험과 역사철학자들 - ‘교토학파(京都学派)’의 논의와 관련하여
-
강해수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18,
2006,
pp.7-26)
-
62
-
‘조선’이라는 여행지에 머문 서양철학 교수
-
박광현;
동국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8,
pp.241-265)
-
63
-
Marxist Philosophy of History in Colonized and Liberated Korea: Sin Nam-ch'ŏl’s Theory of Historical Subject and Tragic Fatalism
-
Park, Min Cheol;
;
(시대와철학 = Epoch and philosophy,
v.33,
2022,
pp.75-113)
-
64
-
[특집 해방 60년, 우리 속의 식민지 한국철학 2] 다카하시 도오루의 조선 성리학 연구 영향과 새로운 모색
-
이형성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3,
2005,
pp.171-193)
-
65
-
[특집 해방 60년, 우리 속의 식민지 한국철학_심층기사 2] 조선 총독부의 지배 정책과 다카하시 도오루
-
이성환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3,
2005,
pp.236-247)
-
66
-
朱熹와 李滉의 理气思想 比较研究
-
張華;
;
(東亞人文學,
v.23,
2012,
pp.85-98)
-
67
-
주체사상 체계화 이후 북한철학에 나타난 변화와 이론적 특징
-
김익현;
;
(통일인문학논총 = The journal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50,
2010,
pp.65-102)
-
68
-
朝鮮陽明學的哲學特質 - 以霞谷鄭齊斗的工夫論爲中心 -
-
최일범;
성균관대학교;
(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,
v.0,
2003,
pp.71-84)
-
69
-
동서양 여성철학의 현장탐구:버지니아 울프의 페미니즘과 조선 임윤지당의 성리학 중심 비교 연구
-
김보희;
부경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05,
pp.253-275)
-
70
-
The Theory of “Propriety-politics” of Joseon Intellectual in the Early 20th Century: Focusing on Jeon Byunghoon's “Political Philosophy”
-
LEE, Daeseung;
;
(韓國 宗敎,
v.54,
2023,
pp.295-3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