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4건 중 924건 출력
, 7/93 페이지
-
61
-
소간음(疎肝飮)으로 살펴보는 조선의학에 대한 일고(一考)
-
김대형;
안상우;
한국한의학연구원 학연협동과정;
한국한의학연구원 학술정보부;
(한국의사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,
v.17,
2004,
pp.99-110)
-
62
-
조선의 법의학과 풍속(18) - 다산(茶山)의 명판결과 조선의 법 풍속 법과 도덕의 긴장
-
김호;
경인교대 사회교육과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511,
2011,
pp.84-85)
-
63
-
18세기 후반 의학계의 변화상 -『欽英』으로 본 조선후기 의학 -
-
김성수;
;
(한국문화,
v.0,
2014,
pp.99-134)
-
64
-
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의학서 『胎産集要』 연구
-
박훈평;
화순마루병원 진료과장;
(藏書閣,
v.0,
2016,
pp.6-30)
-
65
-
후지타 쓰구아키라의 생애를 통해 본 식민지 조선의 의학/의료/위생
-
최규진;
;
(醫史學 : 大韓醫史學會誌,
v.25,
2016,
pp.41-76)
-
66
-
朝鮮時代의 醫療制度(Ⅱ) - 鮮初의 醫學敎育을 中心으로
-
孫弘烈;
;
(歷史 敎育,
v.33,
1983,
pp.105-128)
-
67
-
조선시대에 사용된 천연염료의 한의학적 활용 가능성 고찰
-
윤은경;
이상빈;
백유상;
김종현;
안진희;
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;
忠淸南道 保寧市 保健所;
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;
嘉泉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;
又石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;
(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=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,
v.37,
2024,
pp.77-99)
-
68
-
15-16세기 조선 의학 관료의 신분 변천: 양성이씨 세전 사례를 중심으로
-
박훈평;
오준호;
;
(醫史學 : 大韓醫史學會誌,
v.27,
2018,
pp.295-322)
-
69.
- 조선 통신사 의학 문답 기록에 나타난 醫案 연구
- 서근우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 p., 2007
-
70
-
17-8세기 조선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- 『역시만필』을 통해 살펴본 의관 이수기의 임상 의학-
-
오재근;
;
(醫史學 : 大韓醫史學會誌,
v.31,
2022,
pp.1-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