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1건 중 111건 출력
, 7/12 페이지
-
61
-
전근대 동아시아와 전란, 그리고 변경인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0,
pp.27-51)
-
62
-
베트남 불교서사의 성격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4,
pp.175-216)
-
63
-
李鈺의 인간학-傳을 대상으로-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3,
pp.233-260)
-
64
-
애국계몽기 한문소설(漢文小說)에 나타난 대외인식의 단상 『夢見諸葛亮』의 경우
-
정환국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23,
2003,
pp.201-224)
-
65
-
불교 영험서사와 志怪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3,
pp.146-174)
-
66
-
불교 영험서사의 전통과 『법화영험전(法華靈驗傳)』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1,
pp.123-160)
-
67
-
불교의 東漸과 삼국시대 학술계의 몇 국면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2,
pp.43-76)
-
68
-
‘기씨녀(箕氏女)’와 ‘미주(媚珠)’ 한·월 전기(傳奇)의 상고(上古) 원녀(寃女) 소환의 의미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4,
pp.163-194)
-
69
-
초기서사에서의 '신이성(神異性)'-삼국유사의 신이 구조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6,
pp.126-146)
-
70
-
고전소설의 환상성, 그 연구사적 전망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78-1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