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7/19 페이지
-
61.
- 『임꺽정』에 나타난 '갖바치'의 소설내적 기능과 그 의미
- 정인보
-
安東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4 p., 2000
-
62
-
위당 정인보의 조선학 성립배경에 관한 연구
-
배연숙;
부산대학교 국민윤리과;
(철학논총,
v.59,
2010,
pp.405-426)
-
63
-
위당 정인보의 심학(心學)적 역사의식과 교육적 시사점 –『양명학연론(陽明學演論)』을 중심으로-
-
김은숙;
연세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37,
2023,
pp.23-46)
-
64
-
일제강점기 정인보 실심론의 주체성과 창조적 정신
-
이상호;
계명대;
(철학연구,
v.100,
2006,
pp.385-414)
-
65
-
정인보 철학 사상의 기본 입장에 관한 일고찰 - 실심(實心)과 실학(實學)의 한국철학적 구상 -
-
김우형;
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근대한국학연구소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3,
pp.121-150)
-
66
-
위당 정인보 시문에 나타난 미의식과 ‘실심’의 문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8,
pp.167-189)
-
67
-
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공동체 인식과 사회적 지향: 정인보의 ‘얼’사상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3,
pp.1-20)
-
68
-
정인보의 『양명학연론』과 근대 양명학파 계보의 재구성
-
신현승;
井岡山大學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9,
pp.107-140)
-
69
-
1930년대 정인보,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(國譯) 연구
-
정소연;
이화여자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7,
pp.191-226)
-
70
-
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–변영만, 조긍섭과 정인보, 하겸진의 교유를 중심으로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0,
2021,
pp.275-3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