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96건 중 296건 출력
, 7/30 페이지
-
61
-
영아용 발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
-
조광순;
전병운;
유재연;
이준석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특수교육저널:이론과 실천,
v.4,
2003,
pp.1-19)
-
62
-
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수교사의 언어적 스캐폴딩 분석 연구
-
전병운;
남윤석;
권회연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3,
2007,
pp.373-403)
-
63
-
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중재 연구 동향
-
정은혜;
곽승철;
전병운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9,
2013,
pp.383-408)
-
64
-
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
-
권회연;
이미애;
전병운;
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12,
2010,
pp.355-372)
-
65
-
자폐성 장애아동의 비디오 모델링 연구 동향
-
정은혜;
임경원;
전병운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8,
2012,
pp.109-141)
-
66
-
자폐성 장애(ASD) 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국내․외 연구 동향 분석: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
-
임해주;
전병운;
김정민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9,
2013,
pp.355-381)
-
67
-
한국판 DIAL-3의 민감도와 명확도, 동의지표
-
조광순;
전병운;
이준석;
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21,
2005,
pp.25-46)
-
68
-
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: 메타포(Metaphor)분석을 중심으로
-
장오선;
김려원;
전병운;
공주대학교;
한국장애인평생교육연구소;
공주대학교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21,
2019,
pp.43-68)
-
69
-
통합교육을 위한 장애유아 전이 서비스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
-
정애영;
전병운;
대전 학하초등학교 병설유치원;
공주대학교;
(통합교육연구,
v.1,
2006,
pp.27-53)
-
70
-
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초임교사들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
-
함미애;
전병운;
서울다원학교;
공주대학교;
(특수교육연구,
v.27,
2020,
pp.128-1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