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어느 혁명운동가의 옥중 편지
-
장세윤;
동북아역사재단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0,
pp.219-282)
-
62
-
1910년대 남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무관학교 ―안동유림의 남만주 이주와 이상룡ㆍ김동삼의 활동을 중심으로
-
장세윤;
동북아역사재단;
(만주연구,
v.0,
2017,
pp.89-131)
-
63
-
대한민국임시정부와 중국 상해 프랑스 조계(1919~1932)
-
장세윤;
동북아역사재단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9,
pp.45-82)
-
64
-
1920년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독립전쟁의 주요 쟁점 검토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재외한인연구,
v.0,
2021,
pp.31-67)
-
65
-
중국 동북(만주)·연해주 지역 독립운동 관련 주요 회고록 현황과 사료적 가치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1,
pp.77-109)
-
66
-
中國 朝鮮族의 現況과 展望
-
장세윤;
고구려연구재단;
(만주연구,
v.0,
2006,
pp.101-124)
-
67
-
‘독립전쟁의 영웅’ 홍범도의 귀환, 그 의미와 과제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역사와 현실,
v.0,
2021,
pp.3-30)
-
68
-
2016~2019년 국외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1,
pp.345-398)
-
69
-
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일본 학계의 인식과 역사교과서의 서술 분석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유관순연구,
v.29,
2024,
pp.157-206)
-
70
-
1930년대 후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과 在滿韓人 -동북항일연군의 (한·중)민족연합적 성격 再論-
-
장세윤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3,
pp.5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