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임도공사시(林道工事時) 굴삭기(掘削機)를 이용(利用)한 토공작업(土工作業)의 공정분석(工程分析)
-
이준우;
박범진;
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;
(韓國林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,
v.87,
1998,
pp.82-89)
-
62
-
풍물굿에 나타난 기(旗)의 의미와 색채의식
-
박미영;
문진수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움직임의 철학 : 한국체육철학회지,
v.19,
2011,
pp.235-250)
-
63
-
취병(翠屛)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(宙合樓) 취병의 원형규명
-
정우진;
심우경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7,
2014,
pp.86-113)
-
64
-
취병(翠屛)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(宙合樓) 취병의 원형규명
-
정우진;
심우경;
고려대학교 대학원;
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47,
2014,
pp.86-113)
-
65
-
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 및 <호림박물관>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
-
김성수;
청주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정보학부 문헌정보학;
(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,
v.37,
2006,
pp.405-428)
-
66
-
적외선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 피층 수온 산출
-
김희영;
박경애;
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;
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/해양연구소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41,
2020,
pp.617-629)
-
67
-
江西禪脈의 이른바 ‘東流之說·西學之求論’에서 본 宜春禪宗안에 머문 해동구법승의 佛敎地理的 分布 - 해동구법승 硏究의 方法論과 課題內容을 중심으로 -
-
변인석;
아주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5,
pp.439-489)
-
68
-
고대 한일교섭의 가교, 거제도 -가야의 瀆盧國과 신라의 裳郡-
-
이영식;
인제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0,
pp.101-142)
-
69.
- 어장관리체계 변화와 어업공동체의 적응양상 : 거제연안 대구호망어업을 중심으로
- 김가람
-
목포대학교, 국내박사,
xi, 186 p., 2019
-
70
-
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에서의 조, 수수, 기장의 생육 및 수량
-
윤성탁;
이명철;
김정순;
장경우;
허진우;
김영복;
김태호;
남중창;
남민희;
이용환;
황재복;
심상인;
김성민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;
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;
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;
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;
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;
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;
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;
(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= 韓國作物學會誌,
v.55,
2010,
pp.350-3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