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759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일제시기 검열관들의 조선어 미디어와 검열업무에 대한 인식
-
이민주;
;
(한국언론학보 =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& communication studies,
v.55,
2011,
pp.169-195, 491)
-
62
-
일제시기 중국 현대희곡의 국내 번역과 그 특징 연구
-
박남용;
임혜순;
;
(中國學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50,
2009,
pp.429-459)
-
63
-
일제시기 대만지식인의 ‘조국의식’과 중국경험 - ‘孤兒意識’의 형성과정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
-
손준식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56,
2012,
pp.167-187)
-
64.
- 일제시기 조선 화교의 금융네트워크 : 1910-20년대 화교상인을 중심으로
- 석하림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4 p., 2012
-
65.
- 일제시기 사립고등보통학교 교원의 위상과 활동
- 우정애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77 p., 2018
-
66
-
일제 식민지시기 연구의 현황과 추이
-
張圭植;
;
(歷史 學報,
v.178,
2008,
pp.145-172)
-
67
-
Admission and career path of students of Keijo- Jeil Secondary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
-
Lim, Yirang;
;
(역사문제연구,
v.48,
2022,
pp.207-257)
-
68.
- 일제시기 面職員의 존재형태와 해방 후 활동 : 울주군 상북면 사례
- 홍은정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68 p., 2009
-
69
-
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bureaucrats in the Chosen Colonial Government General
-
Kang, Myung sook;
;
(아시아교육연구= Asian Journal of Education,
v.21,
2020,
pp.329-346)
-
70.
- 일제시기 한국·타이완 문학 창작에서의 루쉰 작품의 수용 연구
- 서진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48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