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59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이병기 시의 유교적인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
-
김옥성;
단국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1,
pp.315-353)
-
62
-
제3회 전국도서관인 큰모임 정책토론
-
한국도서관협회;
한국도서관협회;
(圖書館文化 = KLA journal,
v.34,
1993,
pp.32-34)
-
63
-
한글의 텍스트성(textuality)과 ‘읽는 時調’ : 가람 이병기의 한글운동과 시조혁신운동
-
정주아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47,
2019,
pp.251-274)
-
64
-
⟨조선문법강화⟩를 통해 본 가람 이병기의 문법 연구
-
이래호;
강원대학교;
(어문론집,
v.101,
2025,
pp.105-135)
-
65
-
가람 이병기의 시조 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
-
조해숙;
서울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6,
pp.267-297)
-
66
-
이병기 「濟州ㅅ길에」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
-
김아연;
전북대학교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18,
pp.29-66)
-
67
-
Sheehan 증후군에서 복합뇌하수체 자극검사에 대한 뇌하수체전엽홀몬의 동태
-
이병기;
신동복;
김성운;
양인명;
김진우;
김영설;
최영길;
;
(大韓內科學會雜誌 =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,
v.33,
1987,
pp.36-43)
-
68
-
현(근)대 시조와 근대 하이쿠 비교 연구 - 이병기와 마사오카 시키(正岡子規)를 중심으로 -
-
임곤택;
가천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2,
2016,
pp.95-117)
-
69
-
Self-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Discourse Reflected in Travel
-
Jeon, Seong-wook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42,
2020,
pp.413-448)
-
70
-
『가람日記』를 통해 본 이병기 선생의 국어학적 활동운동
-
윤석민;
전북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1,
2020,
pp.5-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