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615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.
- 이광수 소설의 '암시된 저자' 연구
- 서은혜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36, 2017
-
62
-
이광수 장편 소설 『재생』의 정치 시학적 특성 연구
-
김병구;
;
(國語文學,
v.54,
2013,
pp.183-206)
-
63
-
난민의 세기, 상상된 아시아 - 이광수의 『서울』(1950)을 중심으로
-
김혜인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6,
2010,
pp.137-160)
-
64
-
이광수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동성 간 관계와 감정의 언어화 방식
-
신지연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1,
2007,
pp.181-221)
-
65
-
한국 역사소설 연구의 한 경향 - 이광수 역사소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
-
황정현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10,
2010,
pp.411-430)
-
66.
- 이광수의 역사소설 연구
- 이계형
-
慶山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9p., 1999
-
67
-
춘원(春園)의 이광수(李光洙)의 희곡문학
-
김원중;
;
(국어국문학,
v.86,
1981,
pp.327-335)
-
68
-
Lee Gwangsu's sijo ‘Im’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
-
Kwon, Sung Hun;
;
(春園硏究學報 = Journal of Kwangsoo Lee research,
v.22,
2021,
pp.187-210)
-
69.
- 춘원 이광수의 서지적 연구
- 명혜권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67 p., 2010
-
70.
- 이광수의 역사소설에 나타난 민족관
- 이성희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9 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