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568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한국 근대 소설에 나타난 ‘여류 음악가’ 표상과 젠더 정체성 연구
-
이미나;
서울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21,
pp.321-355)
-
62.
- 전자음악가의 실험 유형 발전 과정과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난 융합화 양상 고찰 연구
- 유호정
-
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80, 2024
-
63
-
인디음악가, 한국 영화를 채우다: 음악, 기술, 창의력과 영상산업의 변동
-
조일동;
;
(한국학,
v.47,
2024,
pp.7-45)
-
64
-
“노래하소서 여신이여”, “말해주소서 뮤즈여”: 고대 그리스의 음악과 음악가, 그리고 여성
-
박정숙;
한세대학교;
(音.樂.學,
v.28,
2020,
pp.165-208)
-
65
-
근대 어린이 발견과 어린이 운동의 관점으로 읽는 「어린 음악가」
-
염희경;
춘천교육대학교;
(아동청소년문학연구,
v.0,
2022,
pp.7-41)
-
66.
- 재즈 음악가를 소재로 한 전기 영화에 대한 분석 : 영화 『버드(Bird)』, 『본 투 비 블루(Born to be blue)』, 『마일스(Miles Ahead)』를 중심으로
- 이고운
-
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, 국내석사,
71, 2018
-
67
-
인디 음악가의 젠트리피케이션 경험과 인식
-
김소연;
연세대학교;
(대중음악,
v.20,
2017,
pp.117-158)
-
68
-
시각장애인 음악가의 역사적 전통과 의의
-
윤종선;
고려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7,
pp.125-159)
-
69.
- 18세기 말~19세기 초 줄풍류 전문음악가 연구 : 유춘오악회와 북학파 풍류방을 중심으로
- 길현주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94, 2023
-
70.
- 중국의 산아제한정책 하에서 둘째로 태어난 음악가의 애착 상처 치유 경험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
- 공아리
-
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