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7/74 페이지
-
61.
- 화성궐리사 공자 성적도 연구 : 공자의 신성화·종교화를 중심으로
- 신현만
-
한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90 p., 2020
-
62.
- 사후 사찰 기재의 현대적 실천방안 연구
- 정기옥
-
한림대학교, 국내박사,
148 p., 2022
-
63
-
德治의 상징체계로서 유교국가의 卽位儀禮 - 덕치와 왕권확립, 그 길항관계의 의례적 구성과 그 해석 -
-
박례경;
연세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1,
pp.149-200)
-
64.
- 통과의례로서 그리스도교 세례 예식의 연구
- 박의배
-
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, 국내박사,
140 p., 2010
-
65
-
서울 진오기굿의 종교적 성격과 문화적 위상
-
이용범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27,
2007,
pp.5-31)
-
66
-
동학사의 동학삼사(東鶴三祠) 연구 - 사적 전개와 의례 변화를 중심으로 -
-
곽묘신;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;
(불교문예연구,
v.19,
2022,
pp.115-147)
-
67
-
서울 진오기굿의 의례적 특징
-
이용범;
한국종교문화연구소;
(공연문화연구,
v.22,
2011,
pp.63-92)
-
68.
- 조선 성종조 악장의 찬진(撰進) 과정과 그 지향
- 박영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69 p, 2025
-
69
-
기조 3 : 유교사상과 조선사회 - 도전과 적응의 양상
-
마르티나 도힐러;
;
(국학연구,
v.14,
2009,
pp.65-75)
-
70
-
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의 교류
-
정세현;
간사이대학교;
(漢文學報,
v.35,
2016,
pp.103-1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