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.
- 랑시에르의 미학으로 다시 읽는 『광막한 사르가소 바다』
- 주기화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73 p., 2012
-
62.
-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 방안 : <춘향전>을 중심으로
- 조은혜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0 p., 2010
-
63.
- <<남화경주해산보(南華經註解刪補)>> 번역 : <소요유>, <제물론>, <양생주>
- 박헌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181 p., 2010
-
64.
- 남정현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담론 연구
- 김윤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50 p., 2005
-
65
-
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문학의 역할과 의의 - 고전소설 활용을 중심으로
-
정선희;
홍익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4,
pp.397-426)
-
66.
- 뮤지컬 극본 <시집가는 날>을 통해 본 매체 활용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
- 전수정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88 pp, 2010
-
67.
- Christ wolf의 [nachdenken uber christa T.]에 관한 고찰 :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부터의 탈피 : 朴株賢
- 박주현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98p., 1997
-
68.
- 역사동화를 활용한 역사 교수.학습 프로그램 개발
- 안진선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88p., 2012
-
69.
- 일본어 심화학습을 위한 일본문화 이해
- 노영옥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183 p., 2009
-
70.
- 아동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양상과 교육적 의의
- 박인철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26 p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