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7/11 페이지
-
61
-
『경종실록』의 편찬과 수정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민족문화,
v.42,
2013,
pp.183-217)
-
62
-
역사 대중화와 역사학 - 역사의 향유와 모독사이 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6,
pp.91-128)
-
63
-
역사교육의 또 다른 지평, ‘아카이브’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07,
pp.297-327)
-
64
-
文谷 金壽恒과 己巳士禍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16,
pp.63-95)
-
65
-
조선후기 국사체계(國史體系)의 변동에 관한 시론-실록(實錄)에서 일성록(日省錄)으로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4,
pp.265-296)
-
66
-
특집 총론 : 독재 권력의 역사 기억 통제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5,
pp.37-50)
-
67
-
기억의 시냅스; 孝宗과 宋時烈, 그리고 正祖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8,
pp.31-73)
-
68
-
順菴 安鼎福의 斷代史 編年體, 『列朝通紀』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한국실학연구,
v.0,
2013,
pp.171-209)
-
69
-
正祖 초반 『英祖實錄』 편찬에 대한 연구
-
오항녕;
국가기록원;
(민족문화,
v.0,
2006,
pp.313-339)
-
70
-
같은 인연, 다른 길-호당수계(湖堂修契) 제현의 배경, 현실 그리고 기억-
-
오항녕;
전주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41,
2015,
pp.157-1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