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조선 후기 고구마의 도입과 재배법의 정리 과정
-
염정섭;
서원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06,
pp.111-147)
-
62
-
18세기 말 우하영의 『千一錄』 편찬과 農法 정리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0,
pp.81-103)
-
63
-
18세기 말 華城府 수리시설 축조와 屯田 경영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9,
2010,
pp.55-96)
-
64
-
세종대 권농 실시와 농법 정리의 의의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21,
pp.1-33)
-
65
-
18세기 후반 徐命膺의 『本史』 편찬과 『本史』의 구성 체제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9,
2018,
pp.259-287)
-
66
-
18세기 山林 處士의 향촌 생활 지침서 『山林經濟』의 성격과 의의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4,
pp.177-230)
-
67
-
규장각 소장 18세기 문집 자료의 특색과 활용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03,
pp.37-59)
-
68
-
15세기 후반 강희맹의 금양잡록(衿陽雜錄) 편찬과 금양(衿陽) 지역 농법의 성격
-
염정섭;
한림대 인문학부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24,
pp.193-236)
-
69
-
조선 후기 남양도호부의 농촌생활과 농법‧농업생산의 특색-이옥(李鈺)의 『백운필(白雲筆)』을 중심으로-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0,
pp.321-365)
-
70
-
17세기 후반~18세기 초반 宮房田의 변화 추이 -折受․免稅에 대한 논의와 정책을 중심으로-
-
염정섭;
한림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20,
pp.127-1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