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.
- 강희안의 문학 연구
- 최서임
-
세종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87 p., 2009
-
62.
- 훈민정음 한글발음의 성명학 적용 문제점 고찰 및 대안 제시에 관한 연구
- 이종훈
-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viii, 180 p., 2018
-
63.
- 세종의 사람지향성을 기반으로 한 기업가 정신 연구 : 공감, 권한위임, 역량강화, 비전제시를 중심으로
- 이홍일
-
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, 111 p., 2024
-
64
-
<어우야담(於于野談)>에 반영된 사행(使行) 관련 이야기 연구
-
한태문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0,
pp.5-36)
-
65.
- 오태석의 희곡 『胎』의 연구
- 박정권
-
全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62p., 2003
-
66
-
조선전기 조선 문인과 유구사신 東自端과의 贈答詩
-
이성혜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화,
v.59,
2021,
pp.273-301)
-
67
-
원명교체기, 화이질서의 강화와 동국문명의 형성
-
정출헌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9,
pp.11-44)
-
68
-
북한 조선중앙TV <사육신>의 인물 연구
-
윤진현;
인하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0,
pp.505-547)
-
69
-
<匪懈堂四十八詠>의 성립배경과 체제
-
유영봉;
전주대학교;
(漢文學報,
v.15,
2006,
pp.159-191)
-
70
-
安平大君 李瑢의 文藝活動과 書藝
-
이완우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46,
2005,
pp.73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