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실재/허구 탈경계와 리얼리티의 문학적 재현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18,
2019,
pp.25-58)
-
62
-
생태학적 연결고리 잇기 —스타인벡 자연관과 생태비평적 지평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미국소설,
v.18,
2011,
pp.157-183)
-
63
-
자연의 정치학―존 뮤어의 문학적 환경론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현대영어영문학,
v.54,
2010,
pp.109-132)
-
64
-
남성과 에코 페미니즘
-
신두호;
삼척대학교;
(영미문학페미니즘,
v.9,
2001,
pp.49-70)
-
65
-
Ego or Eco Feminism? Two Modes of Women-Nature Relations in Willa Cather's Early Novels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14,
2007,
pp.333-358)
-
66
-
인류세 식탁과 푸드 서사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19,
2020,
pp.57-87)
-
67
-
생태비평의 자연보전주의 전통과 미국초기생태문학 재고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1,
2013,
pp.31-58)
-
68
-
‘코요테 담론’―생태여성주의 문학의 자연/여성 주체화하기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현대영어영문학,
v.53,
2009,
pp.65-90)
-
69
-
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와 인류세 푸드 웨이, 마거릿 애트우드의 『오릭스와 크레이크』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0,
2021,
pp.137-172)
-
70
-
플랜테이션세 팬데믹과 자본주의 좀비 — 링 마의 사변소설 『단절』
-
신두호;
강원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2,
2023,
pp.57-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