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3건 중 373건 출력
, 7/38 페이지
-
61
-
七點山詩의 樣相과 鄭夢周의 金海 體驗詩
-
엄경흠;
신라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5,
2010,
pp.37-60)
-
62.
- 황순원 시 연구
- 야마구치 마이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5
-
63
-
김시종 시의 공간성 표현과 ‘재일’의 근거
-
김계자;
고려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6,
pp.177-204)
-
64.
- 정지용 시의 절제적 표현에 대한 연구
- 구숙
-
청주대학교, 국내박사,
125p., 2019
-
65
-
박봉우 시의 공간 구조와 타자의식 고찰
-
신진숙;
경희대학교;
(比較文化硏究,
v.13,
2009,
pp.75-100)
-
66.
- 박용래 시에 나타난 동·식물 이미지 연구
- 노영주
-
대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0 p., 2013
-
67.
- 신동엽 시의 은유 연구
- 이창인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9p., 2005
-
68.
- 진이정 시의 역설적 사유와 존재 연구
- 신수진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66 p., 2017
-
69
-
김운초(金雲楚)의 ‘잡시(雜詩)’ 세 편에 대한 고찰
-
이려추;
북경외국어대학 한국어과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0,
pp.25-52)
-
70.
- W. B. 예이츠의 초기시에 나타난 ‘시의 회화적인 특징’ 연구
- 이정연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65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