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30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.
- 삼국유사 속 인물들의 미적 삶
- 원양희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9장, 2010
-
62
-
문화원형의 의의와 「삼국유사」
-
고운기;
한양대학교;
(漢文學報,
v.24,
2011,
pp.3-29)
-
63
-
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『삼국유사』 간행
-
도현철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3,
pp.29-57)
-
64
-
『삼국사기』와 『삼국유사』의 왕대력 비교 연구
-
이강래;
;
(韓國史學報 =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,
v.21,
2005,
pp.41-109)
-
65
-
《삼국유사》에 구현된 일연의 교육사상
-
Gyeongsik An,;
;
(敎育思想硏究,
v.32,
2018,
pp.85-114)
-
66
-
일반논문: ??삼국유사?? 출가 득도담 및 출가 성불담의 초세속 지향 양상
-
이강옥;
영남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213-250)
-
67
-
『삼국유사』 「탑상」편의 메타서사 읽기
-
윤예영;
서강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07,
pp.293-320)
-
68
-
삼국유사 피은편의 문화 기호학적 이해
-
송효섭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11,
1994,
pp.117-137)
-
69
-
史書로서의 『삼국유사』와 『古記』 연구의 흐름
-
박광연;
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;
(진단학보,
v.0,
2018,
pp.27-48)
-
70
-
『삼국유사』의 ‘사(師)’와 일연(一然)의 승려 인식
-
김희만;
;
(한국학,
v.42,
2019,
pp.91-1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