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910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.
- Georg Kaiser의 희비극 연구
- 이영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69 p, 1989
-
62
-
들뢰즈·가타리의 기계와 추상기계 개념을 활용한 비극과 비극성의 재조명
-
김효;
성결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5,
pp.89-134)
-
63
-
에메 세제르의『크리스토프 왕의 비극』에 나타나는 탈식민화
-
진종화;
;
(한국프랑스학논집 = Revue d'etudes françaises,
v.80,
2012,
pp.187-212)
-
64
-
Greek tragedy and Nietzsche`s The birth of tragedy
-
Kim, Choon-seop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2,
2018,
pp.253-261)
-
65.
- 오셀로 읽기 - 남성성의 비극
- 유지연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10 p., 2013
-
66
-
고골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"기만"과 "자기기만"의 비극
-
홍대화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3,
2011,
pp.269-295)
-
67.
- 『오셀로』에 나타난 데스데모나의 여성성과 비극
- 홍미경
-
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52 p., 2008
-
68
-
여성혐오와 가부장의 비극 - 『타이터스 안드로니커스』
-
김문규;
;
(Shakespeare review,
v.38,
2002,
pp.877-904)
-
69
-
論魯迅的“寡母悲劇”
-
徐龍洙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365-378)
-
70
-
언어적 유희와 파우스터스의 비극
-
朴禹洙;
;
(Shakespeare review,
v.16,
1990,
pp.103-1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