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,708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문학의 시각화: 시, 소설, 연극
-
KIM Sang-Tai;
;
(프랑스문화예술연구= Etudes de la culture francecise et des arts en France,
v.7,
2002,
pp.19-36)
-
62
-
‘이야기 시’의 전통과 시조문학 교육
-
Kim, Yong-Ki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40,
2014,
pp.9-30)
-
63.
- 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: 고등학교 시 교육을 중심으로
- 윤재열
-
아주대학교, 국내석사,
76 p, 2002
-
64
-
한국문학시시대구분론
-
홍기삼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12,
1989,
pp.151-167)
-
65
-
시를 통해서 본 헤세의 문학관과 예술관
-
Noh Taehan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19,
2008,
pp.57-83)
-
66.
- 포스트모더니즘 시 교육 방법 연구 :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
- 김보라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86 p., 2009
-
67
-
로랑 고데의 서사시적 문학관
-
KIM Simon;
;
(프랑스 어문교육,
v.36,
2011,
pp.283-301)
-
68
-
중국전설의 시문학적 영향
-
송천호;
;
(中語 中文學,
v.2,
1980,
pp.65-82)
-
69
-
연변 조선족의 시문학
-
이기서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,
1991,
pp.115-151)
-
70
-
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-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
-
이상숙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08,
2008,
pp.65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