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1930년대에 전개된 경호 활동 고찰
-
김은정;
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;
(한국경호경비학회지 =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,
v.19,
2009,
pp.23-41)
-
62.
- 조선배화사건(1931) 이후 조선화교와 중국 민간단체의 네트워크 : 上海各界反日援僑委員會를 중심으로
- 민병화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9 p., 2020
-
63
-
딱지본 대중소설에 나타난 ‘만주’ 표상
-
정종현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3,
2007,
pp.53-94)
-
64.
- 한국 화교의 발전과 변천 : 전라북도 화교를 중심으로
- 장소
-
전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81 p., 2024
-
65
-
동아시아 반식민주의 저항으로서 일제말의 ‘만주 서사’ - 이태준의 ⟨농군⟩과 한설야의 ⟨대륙⟩을 중심으로-
-
고명철;
광운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8,
pp.83-110)
-
66
-
제주 화교사회의 형성과 생활양상에 관한 연구- 초기 입도 과정과 일제 강점기 경제활동을 중심으로 -
-
양세영;
세한대학교;
(제주도연구,
v.55,
2021,
pp.255-279)
-
67
-
A Brutal and Opportunistic yet Pathetic People: The Korean Question in Shenbao’s News Coverage on the Wanbaoshan Incident of 1931
-
윤성오;
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;
(동아연구,
v.43,
2024,
pp.109-141)
-
68
-
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·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–화교자치구의 운영과 화교소학교 건립활동을 중심으로-
-
양세영;
세한대학교;
(제주도연구,
v.58,
2022,
pp.295-317)
-
69
-
萬寶山事件後在華韓人的自衛活動
-
총성의;
성신여자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09,
pp.189-203)
-
70
-
근대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시각 모색 - 萬寶山事件 연구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
-
孫承會;
;
(歷史 學報,
v.179,
2009,
pp.381-40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