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878건 중 1,000건 출력
, 7/100 페이지
-
61
-
독일 및 프랑스 역사학계의 전국대회와 그 조직
-
崔甲壽;
;
(歷史 學報,
v.168,
2000,
pp.332-345)
-
62
-
귄터 그라스의 『양철북』 - 청산 되지 않은 역사, 성장할 수 없는 독일
-
조현천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20,
2008,
pp.277-299)
-
63
-
문수현, 『독일현대정치사 -아데나워에서 메르켈까지, 기민련을 통해 본 정당국가 독일』 (역사비평사, 2023)
-
Shin, Jong-hoon;
;
(西洋史硏究 = The Journal of Western history,
v.69,
2023,
pp.235-240)
-
64
-
그림으로 보는 폐기물처리의 역사, 上 : 독일을 중심으로
-
申丘澈;
;
(첨단환경기술 = Journal of environmental hi-technology,
v.17,
2009,
pp.49-63)
-
65
-
역사속 과학인물-「조선견문기」쓴 독일 의사 필립 프란츠 폰 시볼트
-
박성래;
한국외대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28,
1995,
pp.20-21)
-
66
-
독일 프랑스 공동 역사 교과서-1945년 이후 유럽과 세계, 독일ㆍ프랑스 공동역사교과서 편찬위원회 기획, 김승렬 외 옮김, 서울: 휴머니스트, 2008
-
김정인;
;
(역사교육연구= Studies on history education,
v.8,
2008,
pp.287-295)
-
67
-
숙적관계에서 협력관계로:독일-프랑스 역사교과서 협의
-
김승렬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49,
2003,
pp.139-170)
-
68.
- 독일 역사교육에서의 역사의식과 역량 논의 : 뤼젠(J?rn R?sen)의 역사이론과 FUER모델을 중심으로
- 박미향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114, 2022
-
69
-
크리스토프 클레스만/최승완 역, 『통일과 역사 새로 쓰기: 독일 현대사에서 배운다』(역사비평사, 2004.11)
-
李龍一;
;
(歷史 學報,
v.175,
2005,
pp.371-379)
-
70.
-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: 전쟁에 대한 기억과 반성
- 김가영
-
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79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