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59건 중 359건 출력
, 7/36 페이지
-
61
-
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 몇 가지 -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
-
최영성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39,
2019,
pp.189-214)
-
62
-
『매월당집』 贊에 담긴 김시습의 비판의식과 지향세계
-
강창규;
독립연구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3,
pp.41-84)
-
63
-
수락산(水落山)의 도교 공간과 김시습(金時習)
-
이권;
한국항공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3,
pp.202-223)
-
64
-
김시습의 『林泉佳話』 연구
-
차충환;
경희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3,
pp.99-140)
-
65
-
매월당 김시습의 행정개혁사상
-
박수경;
충남대학교;
(한국행정사학지,
v.0,
2016,
pp.27-48)
-
66
-
매월당 김시습의 寓言詩 고찰
-
이연정;
선문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9,
2012,
pp.25-50)
-
67
-
모바일 로봇에서 RFID를 이용한 지도작성 알고리즘 개발
-
김시습;
선정안;
기창두;
전남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;
웅진에너지(주);
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;
(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,
v.20,
2011,
pp.133-138)
-
68
-
이문구의 소설 [매월당 김시습] 연구
-
임금희;
고려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05,
pp.163-187)
-
69
-
설잠(雪岑) 김시습(金時習)의 『화엄석제(華嚴釋題)』와 화엄선(華嚴禪)
-
이창안;
동국대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4,
pp.159-184)
-
70
-
『十玄談要解』에 나타난 김시습 글쓰기의 특징과 위상
-
최귀묵;
숙명여자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09,
pp.217-2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