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4건 중 214건 출력
, 7/22 페이지
-
61
-
김광균 시의 전향과 그 의식변이 연구
-
송기한;
대전대학교;
(어문연구,
v.65,
2010,
pp.297-323)
-
62
-
김광균 초기 시의 시각성과 미적 모더니티
-
엄성원;
서강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7,
2015,
pp.317-335)
-
63
-
Method of Reading Kim Kwang-gyun's Poems to Expand Philosophical Perception of Death
-
Oh, Jeong Hun;
;
(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= Journal of learner-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,
v.22,
2022,
pp.85-102)
-
64.
- 1930年代 韓國 모더니즘 詩 硏究 : 정지용, 김기림, 김광균을 中心으로
- 박종철
-
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lⅷ, 50 p., 2002
-
65
-
김광균 시의 자연과 모더니티
-
진순애;
성균관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01,
pp.219-238)
-
66
-
모더니즘 시의 '현실'과 그 기호적 맥락-김광균의「서정시의 문제」를 중심으로
-
조영복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6,
1998,
pp.241-266)
-
67
-
김광균과 군산, 그리고 회화적 감각
-
이지영;
경희대학교/Kyunghee uni.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20,
2019,
pp.339-368)
-
68
-
김광균 시의 조형성과 모더니티
-
나희덕;
조선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06,
pp.97-118)
-
69
-
김광균 시의 공간 구조 연구
-
정유화;
서울시립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10,
pp.205-237)
-
70
-
‘생활의 형태’ 그리고 ‘생활의 정서’ 공동체 -김광균론
-
장동석;
;
(구보학보,
v.0,
2018,
pp.287-3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