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공선옥 소설의 노래 수용과 자아발현 양상 고찰 - 『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』를 중심으로
-
김효숙;
중앙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6,
pp.77-104)
-
62
-
한국 현대 소설에 나타나는 ‘폐경’의 의미 연구-김훈의 ⟨언니의 폐경⟩과 공선옥의 ⟨폐경전야⟩를 중심으로-
-
김은정;
경남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2,
pp.403-430)
-
63.
-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가난서사 연구 : 1990~2000년대의 소설을 중심으로
- 이자화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10장, 2018
-
64.
- 여성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: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을 중심으로
- 김혜원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2장, 2012
-
65.
-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향과 서사구조 연구 : 이주노동자 소설을 중심으로
- 김수현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i, 96 p., 2020
-
66.
- 한국 현대소설의 모성성 연구
- 김경희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58 p., 2005
-
67
-
인식되지 못한 자들, 혹은 유령들 - 5월소설 속의 ‘룸펜’ -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5,
2015,
pp.5-38)
-
68
-
이주자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
-
김택호;
명지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3,
pp.139-161)
-
69
-
여성문학과 술/담배의 기호론
-
임정연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2,
pp.213-240)
-
70
-
인식되지 못한 자들, 혹은 유령들 - 5월소설 속의 ‘룸펜’ -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5,
2015,
pp.5-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