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61
-
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: 주역선해 譯注를 중심으로
-
고영섭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3,
pp.147-173)
-
62
-
蘇東坡散文風格硏究
-
박노현;
상지영서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3,
pp.157-171)
-
63
-
東坡早期詞的創作歷程
-
劉少雄;
국립대만대학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05,
pp.77-106)
-
64
-
사대부 은일의 전형: 北宋 蘇軾의 은일 고찰 - 소식의 詩詞 작품을 중심으로
-
김수희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102,
2020,
pp.99-122)
-
65.
- 『壬戌泛月錄』에 나타난 空間 認識의 樣相과 意味
- 손유진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7 p., 2011
-
66.
- 한국 고전 시가에 나타나는 도연명 : 조선시대 시조·가사를 중심으로
- 항몽열
-
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, 국내박사,
233, 2025
-
67
-
蘇東坡的<和歸去來辭>硏究
-
김주순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0,
pp.139-154)
-
68
-
亂이라는 극적 상황에 대한 시적 형상화 방식
-
黃奕珍;
國立臺灣大學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6,
pp.75-102)
-
69
-
蘇軾 詩와 관련된 일본 五山禪僧들의 讀後詩에 관한 연구- 《翰林五鳳集》에 실린 시를 중심으로
-
정세진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78,
2014,
pp.131-156)
-
70
-
「赤壁圖」에 구현된 「赤壁賦」의 이미지와 서사 — 한국과 중국의 「赤壁圖」 비교 연구 —
-
강경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2,
pp.109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