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4건 중 674건 출력
, 67/68 페이지
-
661.
- 중국무용을 활용한 예술치료가 양로 기관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
- 허정
-
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64, 2022
-
662.
- 현판(懸板)과 주련(柱聯)을 토대로 한 창덕궁 후원의 경관 해석
- 장림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석사,
vii,150p., 2016
-
663.
- 한·중 가면극(假面劇)의 웃음 연출과 문학교육적 의의
- 江篠倩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214 p., 2019
-
664.
- 조선 후기 봉황도(鳳凰圖) 연구
- 권형인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137 p., 2018
-
665.
- 중국청대(清代) 조복(朝服)에 관한 연구
- 펑쉬둥
-
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, 국내박사,
120, 2024
-
666.
- (A)study of Kyehoe-do (契會圖), paintings of gatherings in Ch˘oson dynasty
- 윤진영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iv, 496p., 2004
-
667.
- 이익의 두보 수용연구
- 최해련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3, 2015
-
668.
- 경관 관련 텍스트에 나타난 태산경관 특성
- Yu, Ying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, 199 p., 2023
-
669
-
조선후기 <王會圖> 屛風의 제작과 의미
-
Park Jeong-hye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77,
2013,
pp.105-132)
-
670.
- (The)Peach Blossom Spring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
- 허용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98 p., 20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