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64/74 페이지
-
631
-
朝鮮後期 서울 班家의 祭禮 - 忌祭의 準備 및 祭需를 中心으로
-
崔培英;
;
(儒敎 思想 硏究,
v.16,
2002,
pp.107-127)
-
632
-
군위 대율마을 계회(契會) 방식의 변화와 그 요인
-
손대원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15,
2010,
pp.233-260)
-
633.
- 고려 현종의 국정운영 연구
- 임지원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ⅵ, 245 p., 2022
-
634
-
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研究
-
許詳浩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7,
2007,
pp.853-879)
-
635
-
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
-
최희준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1,
2011,
pp.127-158)
-
636
-
韓國 巫俗信仰의 實踐倫理的 照明
-
최문기;
서원대학교;
(윤리연구,
v.1,
2009,
pp.1-33)
-
637
-
세종대 동아시아 예악론의 인식 양상과 의례음악 정비
-
송혜진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4,
pp.111-142)
-
638
-
대전 도산서원(道山書院)의 전통적 가치와 문화예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
-
정균선;
김세정;
충남대학교;
충남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2,
pp.249-267)
-
639
-
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
-
김현호;
영남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1,
pp.183-208)
-
640
-
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
-
신상섭;
우석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44,
2011,
pp.30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