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39건 중 639건 출력
, 64/64 페이지
-
631
-
강남다움의 한 기원, 1990년대 압구정동 문화와 문학
-
송은영;
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4,
pp.153-188)
-
632
-
프로이센 중심의 국가형성과 작센의 지역화 (1806~1866)-독일의 중앙과 지역 형성과정-
-
박상욱;
경상국립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4,
pp.240-280)
-
633
-
일본인 교사 야노 쿠니타로[矢野國太郞]의 조선 인식과 경성 향토자료 서술
-
문지은;
서울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4,
pp.123-172)
-
634
-
동대문 공간의 역사적 변화와 장소성 -의류패션산업을 중심으로-
-
김미선;
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4,
pp.323-371)
-
635
-
입체도시-서울의 경험과 과제
-
김기호;
서울시립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5,
pp.309-343)
-
636
-
조선전기 畿甸의 군사목장 운영과 갑사의 마필 점고
-
이홍두;
홍익대학교;
(서울과 역사,
v.0,
2024,
pp.7-38)
-
637
-
미국공사관의 부지 매입과 家契,그리고 영역 변화
-
김현숙;
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;
(서울과 역사,
v.0,
2025,
pp.85-44)
-
638.
- 도시아카이브의 효과적 공유를 위한 대화형 지도 활용사례 연구 : 해외 도시아카이브의 서비스를 중심으로
- 조현호
-
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, 75 p., 2024
-
639.
- 서울시 정보소통 정책 수립 과정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연구 : 서울시 기록관리체제 구축을 중심으로
- 최동운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274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