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19건 중 719건 출력
, 63/72 페이지
-
621
-
신채호 역사전기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
-
장경남;
숭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88-114)
-
622
-
제주도지명 표기와 해독, 설명의 문제점 ― 기존의 지명 자료집을 중심으로 ―
-
오창명;
제주대학교;
(지명학,
v.2,
1999,
pp.135-153)
-
623
-
삼중당의 ‘대중문고’, 『아리랑』, 역사물의 연쇄와 순환
-
공임순;
서강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23,
pp.227-260)
-
624
-
여성독립운동가 박안라, 이애라에 대한 연구
-
정상희;
원광대학교;
(유관순연구,
v.29,
2024,
pp.131-161)
-
625
-
17세기 초 海科의 설행과 정치ㆍ사회적 의미 -『癸卯春別試榜』을 중심으로-
-
심승구;
한국체육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23,
pp.123-162)
-
626
-
『난중일기』의 민속지적 맥락과 물자(物資) 유통의 문화적 함의
-
박경용;
대구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45,
2025,
pp.167-200)
-
627.
- 민족문화상징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
- 배진수
-
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11 p, 2014
-
628.
- 알고리즘에 의한 사친?사군?입신의 변환모델에 의한 사례분석
- 박일기
-
성산효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, 2018
-
629
-
16~17세기 古今島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
-
김경옥;
;
(島嶼文化,
v.33,
2009,
pp.171-201)
-
630
-
영상촬영 관광지의 수명주기에 관한 연구
-
조미혜;
정두선;
;
(대한경영학회지= Daehan Journal of business,
v.24,
2011,
pp.1347-137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