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37건 중 737건 출력
, 62/74 페이지
-
611
-
조선시대의 삼년상과 기복제도
-
안호용;
고려대학교;
(한국사회,
v.15,
2014,
pp.103-157)
-
612
-
북위 平城期 沙嶺벽화고분의 연구
-
서윤경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010,
2010,
pp.175-208)
-
613
-
藏書閣 소장 일제강점기 儀軌의 미술사적 연구
-
박정혜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59,
2008,
pp.117-150)
-
614
-
안락국태자전승의 서사 계통과 장르적 변용
-
김진영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110,
2021,
pp.135-163)
-
615
-
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의 곡례哭禮 정비와 그 의미
-
김윤정;
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;
(국학연구,
v.0,
2020,
pp.9-42)
-
616
-
개화기 강증산(姜甑山)전승에 나타난 예(禮)문화의 변혁과 그 실천 양상 -조선말기 사회개혁의 한 방법론과 관련하여-
-
고남식;
대진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23,
pp.443-473)
-
617
-
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내용 연구
-
김진호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62,
2023,
pp.5-36)
-
618
-
충청지역 불천위제례의 전승양상-고기제물의 구성과 조리방식을 중심으로-
-
양미경;
한국국학진흥원;
(역사민속학,
v.0,
2019,
pp.113-140)
-
619.
- 『조선왕조실록』을 통해 본 왕의 위락 활동
- 강현민
-
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vi, 185pp., 2016
-
620.
- 혼례절차에 따른 한국혼례설화의 유형에 대한 전승집단의 의식 연구
- 홍순래
-
신라대학교, 국내석사,
57장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