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0건 중 670건 출력
, 62/67 페이지
-
611
-
고관절 재치환술에서 자가 장골의 한쪽 피질 골판을 이용한 대퇴골 근위부 골결손의 재건
-
김영민;
김희중;
김상림;
유기형;
임수택;
유정준;
서성욱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제주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대한정형외과학회지,
v.37,
2002,
pp.16-477)
-
612
-
무심폐기 관상동맥 우회술에 있어서 이식편의 대동맥부 근위부 문합 방법에 따른 수술 후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의 비교: 하트스트링을 이용한 방법 대 고식적인 수기 문합술
-
조원철;
김준범;
김희중;
김환욱;
김윤석;
정재승;
주석중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울산대학교;
(Journal of Chest Surgery,
v.42,
2009,
pp.441-446)
-
613
-
백색 기니픽 와우에서 Protein Kinase C 아형의 발현
-
이병돈;
최제환;
김희중;
유명상;
김재욱;
이재형;
김동욱;
장혁순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순천향대학교;
(대한이비인후-두경부외과학회지,
v.46,
2003,
pp.733-736)
-
614
-
팬텀 영상을 이용한 PET 스캔시간의 최적화 연구
-
정하규;
김동현;
정해조;
손혜경;
홍순일;
윤미진;
이종두;
김희중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한국원자력의학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의학물리,
v.13,
2002,
pp.139-148)
-
615
-
원저 : 신장 방사선 섭취량 결정을 위한 Conjugate View 방법에 대한 평가
-
윤미진;
이종두;
김희중;
박해정;
봉정균;
손혜경;
권윤영;
김유선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진단방사선과 방사선의과학 연구소;
진단방사선과 방사선의과학 연구소;
진단방사선과 방사선의과학 연구소;
외과학교실;
(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,
v., 39,
2005,
pp.191-199)
-
616
-
Comparative Study of Cryostripping and Endovenous Laser Therapy for Varicose Veins: Mid-Term Results
-
이광형;
정재호;
김광택;
이성호;
손호성;
정재승;
김희중;
이승헌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Chest Surgery,
v.48,
2015,
pp.345-350)
-
617
-
편측 안와골 왜소증 환자에서의 자동화된 컴퓨터 3차원 가상수술 기법
-
최종우;
김한조;
설철환;
김용욱;
유선국;
김희중;
김기덕;
박병윤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Archives of Plastic Surgery,
v.31,
2004,
pp.605-612)
-
618
-
이동형 의료영상 장치를 위한 JPEG2000 영상 뷰어 개발
-
김새롬;
정해조;
강원석;
이재훈;
이상호;
신성범;
유선국;
김희중;
연세대학교;
한국원자력의학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고려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의학물리,
v.14,
2003,
pp.124-130)
-
619
-
원저 : 137Cs 점선원을 이용한 감쇠 보정기법들의 평가
-
박해정;
윤미진;
이종두;
정해조;
김희중;
권윤영;
봉정균;
송혜경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한국원자력의학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진단방사선과;
진단방사선과;
(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,
v., 39,
2005,
pp.57-68)
-
620
-
진달래 꽃에서 liquid chromatography-tande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grayanotoxin의 검출
-
김선춘;
김희중;
심주현;
장혜진;
장문희;
권은채;
정종민;
정성필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성학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성학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성학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성학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성학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;
국립과학수사연구원 유전자과;
연세대학교;
(대한응급의학회지,
v.33,
2022,
pp.521-523)